• 소방청, 곤충 유입돼도 화재감지기 오작동
    • 오작동 잦으면 경고도 무뎌집니다.화재 경각심은 화재감지기 '점검'에서 시작.

    • [맘스타임즈, 최영진기자] ■ 화재감지기란?
      · 화재 초기에 열·연기·불꽃을 감지해 경보음을 울리는 장치.
      · 화재 조기 발견 → 빠른 대처 가능.
      · 인명과 재산 피해 최소화에 핵심 역할.
      · 주택용 소방 시설로 단독주택, 다가구·다세대·연립주택 의무 설치 대상(단독경보형 감지기).

      ■ 화재감지기의 종류
      · 차동식 감지기
      온도 상승 속도에 반응.
      → 갑작스러운 열 변화에 민감!

      · 정온식 감지기
      설정한 기준 온도 도달 시 작동.
      → 온도의 절대값에 반응!

      · 보상식 감지기
      차동식 + 정온식 기능 결합.
      → 급격한 상승 & 기준 온도 초과 모두 감지!

      ■ 화재감지기 어떻게 작동할까요?
      · 연기감지기(광전식)
      연기 입자 감지, 거실 또는 침실 등에 적합.

      · 열감지기
      온도 상승 감지, 주방 또는 보일러실에 적합.

      · 가스감지기
      유해 가스 감지, 지하실 또는 난방기구 설치 공간에 적합.

      ※ 공간 환경에 맞는 감지기 선택이 화재 초기 대응의 핵심입니다!

      ■ 화재감지기 오작동 원인은?
      · 먼지 & 오염물질: 내부 먼지로 감지 오류 발생.
      · 배터리 문제: 방전되거나 손상된 배터리로 작동 불량.
      · 부적절한 설치 위치: 히터 근처·고온다습한 곳에 설치하면 오작동 발생 위험.
      · 습도·온도 변화: 결로나 수분으로 센서 오작동 발생.
      · 벌레·곤충 유입: 센서에 접촉해 잘못된 경보 유발.

      ■ 화재감지기, 자꾸 울릴 땐? 반복 오작동 대처법
      · 화재 여부 먼저 확인
      무작정 끄기보다 연기·열기·불꽃 유무 확인.

      · 오작동 원인 점검
      일시 정지 후 배터리 상태, 먼지·벌레 유입 여부 확인.

      · 설치 환경 다시 보기
      고온·다습하거나 환기 안 되는 장소는 감지기 오작동 원인.

      · 전문가 점검 요청
      반복 오작동 시, 감지기 교체 또는 정기 안전점검이 필요.

      ■ 화재감지기 점검 방법
      · 배터리 상태 확인: 전압 저하 시 오작동 가능, 주기적 확인·교체 필요.
      · 청소 및 주변 정리: 먼지·거미줄·곤충 제거로 감지기 오작동 예방.
      · 기능 테스트 실행: 'TEST' 버튼으로 경보음 정상 작동 여부 점검.
      · 설치 위치 재확인: 주방·욕실·난방기기 근처는 부적절할 수 있음.

      화재감지기 경보음은 생명을 지키는 알림!
      오작동이 잦으면 경고도 무뎌집니다.
      불쑥 찾아오는 화재 경각심은 '점검'에서 시작됩니다.
    Copyrights ⓒ 맘스타임즈 & www.momstimes.co.kr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         신문사소개  |   기사제보  |   광고문의  |  불편신고  |  개인정보 취급방침/이용약관  |  청소년보호정책  |  이메일무단수집거부
대표자명: 최영진 | 상호: 라이트형제 | 주소: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5길 93 더샵스타리버 102-530
신문등록번호: 서울, 아53473 | 사업자등록번호: 211-10-22791 | 발행인, 편집인, 청소년보호책임자: 최영진
전화번호: 02)547-7157 | 팩스번호: 02)547-7158 | 이메일: assa94@gmail.com
Copyright © 2021 맘스타임즈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