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소방청, 전동킥보드 사고, 방심은 금물

    • [맘스타임즈, 최영진기자] ■ 개인형이동장치(PM) 사고 현황
      - 2021년: 1735건
      - 2022년: 2386건
      - 2023년: 2389건
      - 2024년: 2232건
      * 자료: 한국도로교통공단,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사고 추이.

      ■ 전동킥보드 사고 사례
      (22년 5월)
      20대 남성 2명이 헬멧 없이 한 대의 킥보드를 함께 타다가 사고 발생, 두 명 모두 사망.

      (23년 10월)
      서울 강남구에서 20대 남성이 음주 상태로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다 중앙선 침범 사고.

      (24년 6월)
      경기 고양시 일산 호수공원에서 산책 중이던 60대 부부가 킥보드에 치여 아내 사망, 남편 중상.

      ■ 전동킥보드 사고 원인은?
      ① 안전 장비 미착용.
      ② 2인 이상 탑승.
      ③ 음주 운전.
      ④ 과속 및 난폭 운전.
      ⑤ 교통법규 위반.
      ⑥ 보행자와 충돌.
      ⑦ 야간 주행 시 사고.
      ⑧ 배터리 화재.
      ⑨ 면허 없는 미성년자 운전.

      ■ 사고 예방 및 안전 수칙
      ① 헬멧 착용 & 보호 장비 필수.
      ② 1인 1대 탑승 원칙 준수.
      ③ 음주 운전 금지 & 교통법규 준수.
      ④ 보행자 보호 & 속도 조절.
      ⑤ 인도 주행 금지, 자전거 도로 또는 차도 가장자리 이용.

      ■ 전동킥보드 배터리 화재 예방법
      ① 현관(출입구) 근처에서 충전하지 않기.
      - 화재 시 대피로가 막힐 수 있어 매우 위험!

      ② 과충전 금지.
      - 완충 후 충전기 즉시 분리! 잠잘 때 충전은 NO!

      ③ 충전 주변 정리하기.
      - 종이·천 등 가연성 물질은 멀리 치워두기.

      ④ 정품 충전기만 사용하기.
      - 무허가·중고 충전기 사용은 폭발 위험↑

      ⑤ 배터리 손상 시 즉시 사용 중지.
      - 부풀거나 변형된 배터리는 즉시 교체.

      전동킥보드도 '교통수단'입니다.

      편리함은 잠시, 안전은 평생!

      올바른 이용 수칙으로 모두의 안전을 지켜주세요.
    Copyrights ⓒ 맘스타임즈 & www.momstimes.co.kr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         신문사소개  |   기사제보  |   광고문의  |  불편신고  |  개인정보 취급방침/이용약관  |  청소년보호정책  |  이메일무단수집거부
대표자명: 최영진 | 상호: 라이트형제 | 주소: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5길 93 더샵스타리버 102-530
신문등록번호: 서울, 아53473 | 사업자등록번호: 211-10-22791 | 발행인, 편집인, 청소년보호책임자: 최영진
전화번호: 02)547-7157 | 팩스번호: 02)547-7158 | 이메일: assa94@gmail.com
Copyright © 2021 맘스타임즈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