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한국교육과정평가원, 2025학년도 수능 성적 분석 결과 발표
    • 전체 응시자 증가 : 444,870명(’24학년도) → 463,486명(’25학년도)- 졸업생 응시자 비율 소폭 감소 : 35.4%(’24학년도) → 34.7%(’25학년도)

    • 한국교육과정평가원(원장 오승걸)은 2025년 6월 9일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.

      분석 결과에는 수능 성적과 관련된 학생 배경 및 학교 배경에 따른 분석 등이 포함되어 있다.

      ※ 응시자 현황

      응시자 현황에서는 영역별, 학생 배경별 전체 응시자 현황 및 학교 배경별, 지역별 재학생 응시자 현황을 제시했다.

      2025학년도 수능 전체 응시자는 463,486명이었다.

      전체 응시자 수는 2014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, 2022학년도에 소폭 증가했고, 2023학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 감소했다가 2025학년도에 다시 증가했다.

      1. 영역별 응시자 현황
      ○ 국어 영역의 응시자는 461,252명이었다.
      ○ 수학 영역의 응시자는 443,233명이었다.
      ○ 영어 영역의 응시자는 459,352명이었다.

      2. 학생 배경별 응시자 현황
      ○ 전체 응시자 463,486명 중 남학생은 238,346명, 여학생은 225,140명이었다.

      ○ 재학생은 302,589명, 졸업생은 143,496명, 검정고시는 17,401명이었다.

      3. 학교 배경별 응시자 현황
      ○ 학교 배경별 응시자 현황으로 학교 설립 주체, 남·여·공학 유형별 학교 수와 재학생 응시자 수를 제시했다.
      ○ 재학생 응시자 291,135명 중 국·공립은 171,538명, 사립은 119,597명이었다.
      ○ 남고는 63,263명, 여고는 55,229명, 남녀공학은 172,643명이었다.

      4. 지역별 응시자 현황
      ○ 지역별 응시자 현황으로 학교 소재지, 시도별 학교 수와 재학생 응시자 수를 제시했다.
      ○ 대도시는 119,750명, 중·소도시는 130,959명, 읍면 지역은 40,426명이었다.
      ○ 경기가 79,520명으로 가장 많았고, 세종이 3,243명으로 가장 적었다.

      ※ 학생 배경별 분석

      학생 배경별 분석에서는 전체 응시자의 성별(남/여)과 재학·졸업 여부(재학/졸업/검정고시)에 따른 표준점수 평균과 등급 분포를 비교·분석했다.

      1. 성별 분석
      ○ 표준점수 평균 : 국어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, 수학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.
      ○ 1·2등급 비율 : 수학에서는 남학생이 높았고, 영어에서는 여학생이 높았다.
      ○ 8·9등급 비율 : 국어와 영어에서는 여학생이 낮았고, 수학에서는 남학생이 낮았다.

      2. 재학‧졸업 여부 분석
      ○ 표준점수 평균 : 국어, 수학에서 졸업생이 가장 높았다.
      ○ 1·2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졸업생이 가장 높았다.
      ○ 8·9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졸업생이 가장 낮았다.

      ※ 학교 배경별 분석

      학교 배경별 분석에서는 재학생 응시자의 학교 설립 주체별(국공립/사립), 남·여·공학 유형별(남고/여고/남녀공학) 표준점수 평균과 등급 분포를 비교·분석했다.

      1. 학교 설립 주체별 분석
      ○ 표준점수 평균 : 국어, 수학에서 사립학교가 높았다.
      ○ 1·2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사립학교가 높았다.
      ○ 8·9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사립학교가 낮았다.

      2. 남·여·공학 유형별 분석
      ○ 표준점수 평균 : 국어에서는 여고가 가장 높았고, 수학에서는 남고가 가장 높았다.
      ○ 1·2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남고가 가장 높았다.
      ○ 8·9등급 비율 : 국어와 영어에서는 여고가 가장 낮았고, 수학에서는 남고가 가장 낮았다.

      ※ 지역별 분석

      지역별 분석에서는 재학생 응시자의 학교 소재지별(대도시/중소도시/읍면지역), 시도별 표준점수 평균과 등급 분포를 비교·분석했다.

      ○ 단, 시도 내 학교 간 표준점수 평균의 차이에서는 재학생 응시자 수가 30명 이상인 학교만 분석했다.

      1. 학교 소재지별 분석
      ○ 표준점수 평균 : 국어와 수학에서 대도시가 가장 높았다.
      ○ 1·2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대도시가 가장 높았다.
      ○ 8·9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대도시가 가장 낮았다.

      2. 시도별 분석

      ○ 표준점수 평균
      - 표준점수 평균 : 국어와 수학에서 서울이 가장 높았다.
      - 시도 내 학교 간 표준점수 평균의 차이 : 국어에서는 대전이 가장 작았고, 수학에서는 광주가 가장 작았다.

      ○ 등급 비율
      - 1·2등급 비율 : 모든 영역에서 서울이 가장 높았다.
      - 8·9등급 비율 : 국어에서는 대구, 제주가 가장 낮았고, 수학에서는 제주가 가장 낮았으며, 영어에서는 대구가 가장 낮았다.
    Copyrights ⓒ 맘스타임즈 & www.momstimes.co.kr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         신문사소개  |   기사제보  |   광고문의  |  불편신고  |  개인정보 취급방침/이용약관  |  청소년보호정책  |  이메일무단수집거부
대표자명: 최영진 | 상호: 라이트형제 | 주소: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5길 93 더샵스타리버 102-530
신문등록번호: 서울, 아53473 | 사업자등록번호: 211-10-22791 | 발행인, 편집인, 청소년보호책임자: 최영진
전화번호: 02)547-7157 | 팩스번호: 02)547-7158 | 이메일: assa94@gmail.com
Copyright © 2021 맘스타임즈. All rights reserved.